개천절(開天節)
‘하늘이 열린 날'이라는 의미로서
우리 민족 최초 국가인 고조선 건국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국경일.
날짜는 10월 3일로,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른 법정 공휴일이면서 5대 국경일이므로 태극기를 게양한다.

서기전 2333년(戊辰年), 즉 단군기원 원년 음력 10월 3일에 국조 단군이 최초의 민족국가인 단군조선을 건국했음을 기리는 뜻으로 제정되었다.
그러나 개천절은 ‘개천(開天)’의 본래의 뜻을 엄밀히 따질 때 단군조선의 건국일을 뜻한다기보다, 이 보다 124년을 소급하여 천신(天神)인 환인(桓因)의 뜻을 받아 환웅(桓雄)이 처음으로 하늘을 열고 태백산(백두산) 신단수 아래에 내려와 신시(神市)를 열어 홍익인간(弘益人間)·이화세계(理化世界)의 대업을 시작한 날인 상원 갑자년(上元甲子年: 서기전 2457년) 음력 10월 3일을 뜻한다고 보는 것이 더욱 타당성이 있다.
따라서 개천절은 민족국가의 건국을 경축하는 국가적 경축일인 동시에, 문화민족으로서의 새로운 탄생을 경축하며 하늘에 감사하는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적 명절이라 할 수 있다.
양력이 아니고 음력?
개천절은 원래 음력 10월 3일이므로 대한민국 수립 후까지도 음력으로 지켜왔는데, 1949년에 문교부가 위촉한 ‘개천절 음·양력 환용(換用)심의회’의 심의결과 음·양력 환산이 불가능하다는 이유와 ‘10월 3일’이라는 기록이 소중하다는 의견에 따라, 1949년 10월 1일에 공포된「국경일에 관한 법률」에 의거, 음력 10월 3일을 양력 10월 3일로 바꿈

태극기에 담긴 뜻
우리나라 국기(國旗)인 '태극기'(太極旗)는
흰색 바탕에 가운데 태극 문양과
네 모서리의 건곤감리(乾坤坎離)
4괘(四卦)로 구성되어 있다.
태극기의 흰색 바탕은 밝음과 순수,
그리고 전통적으로 평화를 사랑하는
우리의 민족성을 나타내고 있다.
가운데의 태극 문양은
음(陰 : 파랑)과 양(陽 : 빨강)의 조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우주 만물이 음양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생성하고 발전한다는 대자연의 진리를 형상화한 것이다.
네 모서리의 4괘는 음과 양이 서로 변화하고
발전하는 모습을 효(爻 : 음 --, 양 ―)의 조합을 통해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 가운데 건괘(乾卦)는 우주 만물 중에서 하늘을,
곤괘(坤卦)는 땅을,
감괘(坎卦)는 물을,
이괘(離卦)는 불을 상징한다.
이들 4괘는 태극을 중심으로 통일의 조화를 이루고 있다.
예로부터 우리 선조들이 생활 속에서
즐겨 사용하던 태극 문양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태극기는
우주와 더불어 끝없이 창조와 번영을 희구하는
한민족(韓民族)의 이상을 담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태극기에 담긴 이러한 정신과 뜻을
이어받아 민족의 화합과 통일을 이룩하고,
인류의 행복과 평화에 이바지해야 할 것이다.
'정보와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습기 사용하시나요?! 가습기 종류/화산에서 온 천연 가습제 구입기 (10) | 2023.10.17 |
---|---|
영종도 모래놀이/모래놀이의 유익한점!/드라이브코스! 영종대교통행료할인! (13) | 2023.10.12 |
추석음식[송편설화/송편유래] (11) | 2023.09.21 |
제철인 새우! 효능부터 알러지까지 알고 먹읍시다! (19) | 2023.09.20 |
강원 세계 산림 엑스포 2023 (8) | 2023.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