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는 연령에 따라 세대별 구분이 가능합니다. 주로 생애 주기와 관련된 경제적 상태, 사회적 역할, 복지 혜택 등에 기반하여 이루어지는데요. 이러한 구분은 개인의 삶의 단계에 따른 특징을 반영합니다.
유아기 0~5세
출생부터 유치원까지의 나이로, 주로 부모나 보호자의 돌봄을 받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주로 영유아 보 육 및 교육 지원이 필요합니다.
유년기는 말 그대로 어린이를 뜻합니다.
최소 단위로 산정하는 3~6세까지를 유아기로 말하기도 합니다.
아동기 6~12세
초등학교에 다니는 나이로, 기초 교육을 받는 시기입니다. 초등학교 교육과 다양한 방과 후 활동이 중요합니 다.
◈ 유아기와 아동기를 유년기로 부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의학적 | 신생아(출생일~28일미만) | 영아(28일 이상~ 2세미만) | 어린이 (2세이상~12세미만) | 청소년(12세이상~19세미만) | 성년(19세 이상~65세 미만) | 노인(65세이상) | |||
사회학적 | 신생아기 | 영아기 | 유아기 | 아동기 | 청소년기 | 청년기 | 장년기 | 중년기 | 노년 |
청소년기 13세 ~18세
중고등학교에 다니는 나이로, 중등 교육 을 받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학업 스트레스와 진로 고민이 중요한 이슈입니다. 또한 청소년 복지 프로그램과 멘토링 등의 지원이 필요합니다.
유년기 이후부터 법적으로 미성년자에 속하는 만 18세까지를 말합니다.
형사법의 하나인 '소년법 ;'에서는 형사미성년자란 개념이 있어 소년법의 적용 대상을 14세 미만으로 규정 한데 여기에서 소년은 연령별 호칭과는 무관한 분류이므 로 연관 지어서는 안 됩니다.
최근의 기준으로 소년기는 크게는 만 9~18세까지로, 좀 더 세부적으로는 만 9~15세는 소년, 만 16~18세는 청소 년으로 따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한 것 같습니다.
◈ 아동기와 청소년기를 (초,중,고등) 학령기로 부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청년기 19세 ~ 29세
대학생 및 취업준비생: 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교에 진학하거나, 취업을 준비하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학자금 대출, 취업 준 비 지원, 주거 문제 등이 주요 관심사입니다.
보통 소년기 이후인 20세에서 29세까지를 말하였지만
2020년 '청년기본법'이 정해지면서 대부분의 중앙정부 의 청년 정책은 만 19세~34세를 기준으로 시행되고 있 습니다.
'청년'이란 19세 이상 34세 이하인 사람을 말한다.-청년기본법 제3조(정의)
청년의 개념 역시 소년법 사례와 마찬가지로 연령별 호칭 과는 무관하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적용되는데 최대 45
세까지 청년으로 보는 사례도 있습니다. (강원도 춘천시 청 '청년농업인 영농정착 지원사업'의 기준)
최근의 기준으로 청년기는 만 19~34세까지로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장년기 30세 ~ 49세
'장년기'는 사람의 일생 중에서 한창 기운이 왕성하고 활동이 활발한 서른엣어 마흔 안팎의 나이를 말합니다.
보통 서른에서 사십 대 중반 즈음의 나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30~45세)
청년과 중년 사이에서 애매한 계층으로 청장년, 중장년으 로 다른 계층과 묶여서 많이 언급되는 계층입니다.
청장년 : 19~ 45세
중장년 : 40~ 64세 정도
최근의 기준으로 장년기는 만 35~49세 정도로 40대를 모두 포함시키는 것이 타당한 것 같습니다.
직장인 및 가정주부: 직장 생활의 중반기를 보내는 시기로, 경제 적 활동이 활발한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주로 직업적 안정성, 경력 발전, 가정과 일의 균형 등이 주요 이슈입니다. 가정에서는 자녀 양육과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
자영업자: 사업을 운영하는 경우도 많으며, 경제적 활동이 중요 한 시기입니다. 사업 확장, 재정 관리 등이 주요 관심사입니다.
중년기 50세 ~ 64세
중장년 직장인: 경력의 후반기를 보내는 시기로, 직업적 안정성과 은퇴 준비가 중요한 이슈입니다. 이 시기에는 자녀가 성장하 고 독립하는 시기이며, 개인적인 건강 관리와 재정 계획이 중요 합니다.
조기 은퇴자: 일부는 조기 은퇴를 선택하기도 하며, 이 경우에는 은퇴 후 생활 계획과 재정 관리가 중요합니다.
노년기 65세 이상
초기 노년기 (65-74세): 은퇴 후 활동적이고 건강한 생활을 유 지하는 시기입니다. 은퇴 연금, 건강 관리, 사회적 활동 등이 주 요 관심사입니다.
'노년기 '는 사전적으로는 나이가 들어 늙은 때, 또 는 늙은 나이를 말합니다.
법률상으로 65세 이상을 노인으로 규정하는 경우가 많 은데 노인복지법, 노인장기요양보험법, 도로교통법, 장애 인•고령자 등 주거약자 지원에 관한 법률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의학이 발달하고 국민건강보험 등을 통한 지속적 인 보건관리가 제공되고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60대에 게 노년이라고 하면 반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의 기준으로 노년기는 만 70세 이상부터로 보는 것 이 타당하겠습니다.
가족관계 호칭, 명칭정리가 궁금하면
헷갈리는 가족관계 호칭, 명칭 정리
핵가족화되어 가는 요즘 나 혼자 사는 사람들도 많은데요. 자주 만나면 헷갈리지 않지만 가끔 아주 가끔 만나게 되면 얼굴도 알고 이름도 아는데 호칭을 뭐라 불러야 할지 난감합니다.오늘은 가
hyang-i.tistory.com
복지멤버십이 궁금하면
복지멤버십 맞춤형급여안내 한 번의 가입으로 나에게 맞는 복지서비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한 번의 가입으로 나에게 딱 맞는 복지서비스를 추천받을 수 있습니다. 나에게 딱 맞는 복지서비를 추천해준다니 왜 이제야 알게 되었을까요? 받을 수 있는 복지는
hyang-i.tistory.com
'정보와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첫 출근 인사말 [인사말 예시 모음, 태도, 피해야 할 표현] (1) | 2025.04.07 |
---|---|
해외에서 저렴한 나라별 명품&브랜드 모음[해외여행쇼핑 꿀팁] (4) | 2025.04.03 |
경기도 다자녀카드NEW I PLUS 경기뉴아이플러스카드 혜택, 발급방법 다둥이카드신청 (3) | 2025.03.31 |
인천 미추홀구 신기시장 로또명당 2025년에 1등 당첨점 구매 후기 (2) | 2025.03.27 |
몸에 있는 점 위치별 의미 – 대박 나는 점 vs 빼야 하는 점? (1)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