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에서 학생 개개인의 학업 수준을 진단하기 위한 맞춤형 학업성취도 평가를 시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시험 대상, 시기, 범위, 등등 알아보겠습니다.
학업성취도평가를 확대 시행하게 된 이유
2017년에 전수평가로 실시하던 국가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를 표집평가로 전환한 이후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3배 가량 크게 증가하고 초등학교, 중학교 단계에서 정확한 학력 수준을 확인할 수 없게 된 학부모들은 사교육을 통해 평가를 치르고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는 실정입니다.
교육부에서는 초3, 중1을 책임교육학년으로 지정하여 집중 지원하고 다른 학년도 성취 수준에 기반하여 개별학습을 할 수 있도록 맞춤형 학업성취도 평가 지원 대상을 확대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일정
- 2024년 2월 20일 ~ 2024년 4월 30일 학년초 자율 실시
- 대상 초3,5,6학년, 중1, 2 학년, 고1, 2학년(7개 학년)
● 책임교육학년으로 지정된 초3, 중1은 전국 모든 학생이 시험 응시
각 학년별 국어, 수학,영어,사회,과학 교과에 대한 학업성취 수준뿐만 아니라 사회, 정서적 역량 등 비인지적 특성에 대한 진단도 가능합니다.
초3은 읽기, 쓰기, 셈하기를 반영 하는 문해력, 수리력 2개 교과 진단 검사를, 중1의 경우 자유학기제 취지를 고려하여 진로, 적성 진단 검사를 제공합니다.
내용
- 교과 : 학년별 국,영, 수, 사, 과 학업성취 수준 진단
(초3: 문해력, 수리력(읽기, 쓰기, 셈하기)
-비교과 : 사회 정서역량
(중1 : 진로적성 진단 검사)
유의사항
평가는 컴퓨터 기반 평가(CBT) 방식으로 실시
학생은 학교에서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등을 이용하여 참여합니다.
단, 초3은 발달 수준, 정보기기 활용 경험 차이 등을 고려하여 지필 평가 방식으로도 응시 가능합니다.
*초3은 문해려, 수리력에 대한 성취수준을 3단계로 제공합니다.
평가 결과는 교과별 성취수준(4~1수준)과 정밀한 학업성취 정보를 담아 학생, 학교(급)에 제공되며, 학교는 진단 결과를 교수, 학습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학업성취도 평가는 학생의 등수나 점수를 성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아닌 현재 성취 수준을 제공하는 시험입니다.
성취 수준을 정확히 진단하여 부족한 부분으 보충하고자 실시하는 시험이므로 아이들에게 시험 부담을 주 필요는 없습니다.
이와 함께 책임교육학년에 대해서는 학습중점 지원대상을 연차적으로 확대하여 2025년에는 하위 30% 규모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학업성취 수준 진단 결과를 토대로 정규수업 및 방과 후 연계지도, 기초학력지도강사 지원, 방학 중 학습 도약 계절학기 운영 등 체계적인 맞춤 학습을 제공하여 기초학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맞춤형 학업성취도 평가로 기초학력 끌어올린다. " 저 말처럼 잘 시행되서 체계적인 학습이 잘 진행되어 학업격차가 많이 안나게 아이들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정보와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어 서울 이벤트 2월 다카마쓰 족보 프로모션 (7) | 2024.01.23 |
---|---|
2024 코리아그랜드세일 KOREA GRAND SALE 2024 (3) | 2024.01.22 |
밤중에 놀라 우는 아이 야경증? 야경증 원인, 야경증 증상,예방 (1) | 2024.01.21 |
아동학대의 유형과 아동학대 의심 징후 (2) | 2024.01.21 |
설 명절 농축산물 할인받는 방법 (6) | 2024.01.20 |